물류 택배 배송 프로세스는 제품이 고객에게 전달되기까지의 흐름을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6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1. 주문 접수 (Order Processing)
고객이 온라인 쇼핑몰, 마켓플레이스(쿠팡, 네이버쇼핑, 아마존 등) 또는 기업의 홈페이지에서 상품을 주문하면, 해당 주문이 물류 시스템에 등록됩니다.
고객이 상품을 선택하고 결제 완료
판매자가 주문을 확인하고 출고 요청
주문 정보가 물류 관리 시스템(WMS: Warehouse Management System)에 등록됨
2. 물류센터 처리 (Warehouse Processing)
주문 정보가 물류센터로 전달되면, 해당 상품을 찾아 포장하고 배송 준비를 합니다.
1) 피킹(Picking)
WMS에서 지시된 위치로 가서 상품을 찾아 가져오는 과정
자동화 로봇(AutoStore, AGV 등)을 이용해 피킹 속도 향상 가능
2) 패킹(Packing)
상품을 보호할 수 있도록 포장
주문별 패킹 리스트 확인 후 최적의 상자 및 완충재 선택
3) 분류(Sorting)
배송 지역 및 택배사별로 상품을 분류
자동 분류 시스템(Sorter) 사용 가능
3. 집하 및 운송 (Pickup & Transportation)
물류센터에서 출고된 상품은 택배사 허브 터미널로 이동합니다.
택배사가 물류센터에서 상품을 집하(Pickup)
허브 터미널(대규모 물류 거점)로 이동
지역별 분류 후 각 지역 배송 센터로 이동
4. 지역 배송 센터 도착 (Local Delivery Center Processing)
허브 터미널에서 목적지 지역으로 분류된 택배는 지역별 배송 센터로 이동합니다.
상품이 도착하면 터미널에서 배송 차량으로 적재
배송 기사별로 배정된 지역별 택배 정리
AI 기반 최적 배송 경로 설정 가능
5. 최종 배송 (Last Mile Delivery)
배송 기사님이 상품을 고객에게 직접 배달하는 단계입니다.
배송 기사가 택배를 차량에 싣고 고객 주소지로 이동
고객 부재 시 문 앞 또는 경비실에 보관(고객 요청 가능)
배송 완료 후 시스템에 업데이트
6. 배송 완료 및 피드백 (Delivery Completion & Feedback)
고객이 상품을 수령하면 배송이 완료되며, 이후 반품 또는 교환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고객이 상품을 수령 후 만족도 평가
반품 요청 시 택배사가 재수거
CS(Customer Service)팀이 고객 피드백을 반영
이렇게 택배 배송 프로세스는 위의 6단계로 거쳐진다.
고객이 주문을 하면, ERP를 거쳐 해당 창고 WMS로 오더가 전송이 되고, 물류 센터 및 창고에서는 해당 오더를 출고하기 위해 할당, 피킹, 패킹, 출고까지 한다. CJ나 한진과 같은 택배사는 배송차를 가지고 해당 센터로 가서 물건들을 상차를 하고, 해당 택배들을 특정 허브에 집하를 한다. 그리고 나서, 분류를 하고 다시 배송을 하게 된다.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P-code란? (0) | 2025.02.10 |
---|---|
[물류] 보충이란? (0) | 2025.02.06 |
[물류] 파레토 법칙이란? (0) | 2025.02.05 |
[물류] QCD(Quaility, Cost, Delivery)란? (2) | 2025.02.04 |
[물류] PSI(Production, Sales, Inventory)란? (0) | 2025.02.0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