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네이버의 도착보장 프로그램은 고객이 구매한 상품의 도착일을 명확하게 안내하고, 약속한 날짜에 배송될 것을 보장하는 서비스입니다. 만약 안내된 도착일보다 배송이 지연될 경우, 네이버는 고객에게 네이버페이 포인트 1,000원을 직접 보상합니다. ​

1. 도착보장 프로그램의 주요 특징
1) 도착보장 태그 및 필터 제공
상품 노출 시 '도착보장' 태그가 표시되며, 고객은 이를 통해 빠른 배송 상품을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터 기능을 활용하여 도착보장 상품만을 검색할 수 있습니다. ​

2) 쇼핑윈도 및 스마트스토어 노출
네이버 쇼핑윈도와 스마트스토어 페이지에서도 도착보장 태그와 필터를 통해 상품의 노출 효과를 높일 수 있습니다. ​

3) 사용료
도착보장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발생한 매출의 1.5%가 사용료로 부과됩니다. 단, 배송비와 반품 및 취소 대금은 매출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2. 도착보장 프로그램 참여 절차
1) 네이버 도착보장 신청
판매자는 네이버의 도착보장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위해 신청을 진행합니다. ​

2) 상품 등록 및 태그 부여
도착보장 프로그램에 참여한 상품에는 '도착보장' 태그가 부여되어 고객에게 노출됩니다. ​

3) 물류사 연계 및 배송
판매자는 네이버와 제휴된 물류사를 통해 상품을 보관, 포장, 출고, 반품 등의 물류 과정을 진행합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배송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3. 유의사항
1) 배송지 변경 불가
도착보장 주문의 경우, 배송지 변경이 불가능하므로 주문 전에 정확한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

2) 판매자 페널티 없음
도착보장 서비스는 네이버의 물류센터에서 보장하는 서비스로, 배송 지연 시 판매자에게 별도의 페널티가 부과되지 않습니다. ​

네이버의 도착보장 프로그램은 고객에게 정확한 배송일 정보를 제공하고, 배송 지연 시 보상을 통해 신뢰도를 높이며, 판매자에게는 물류 서비스의 효율성을 제공합니다.

 

네이버에서도 도착 보장이라는 개념이 도입이 되었다. 원래 이 도착 보장이라는 개념이 쿠팡에서 이전부터 사용되고 있었다. 쿠팡에서는 몇 시 전에 구매하면 오늘 도착 보장 이라는 문구로 상품마다 구분이 되어 있었다.

 

그러면, 여기서 판매자들에게는 특정 날짜에 맞춰 배송을 해서 바로 판매를 할 수 있어 좋고, 구매자는 특정 날짜에 바로 받을 수 있어서 좋고, 그러면 배송하는 사람들에게는 과연 추가적인 금액이 있는 걸까가 큰 관심이다.

 

쿠팡 플렉스의 경우에는 도착 보장에 대한 비용이 없는 걸로 알고 있다. 쿠팡 플렉스를 했을 때 따로 도착 보장에 대한 정산은 없었고, 비닐포장이나 프레쉬백, 박스에 대한 요금으로만 기준이 설정되어 있었다.

반응형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At Cost란?  (0) 2025.04.01
[물류] SDL(Software Defined Logistics)이란?  (1) 2025.03.31
[물류] BPO(Business Process Outsourcing)란?  (1) 2025.03.27
[물류] 반출이란?  (0) 2025.03.26
[물류] 롤테이너(Rolltainer)란?  (0) 2025.03.25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