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t Cost는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할 때 원가 그대로의 가격으로 제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판매자가 추가적인 이윤을 붙이지 않고, 제조비용, 원자재비, 운송비 등 직간접 비용을 포함한 원가만 반영하여 가격을 책정하는 방식이다.

1. At Cost의 특징
1) 이윤 없음
- 판매자는 상품을 원가로 제공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이윤을 남기지 않는다.
- 일부 기업이나 조직은 고객 유치나 브랜드 홍보를 위해 원가 판매 전략을 사용한다.

2) 비용 기반 가격 결정
- 가격이 생산 및 유통에 들어간 실제 비용을 반영하므로 가격 변동이 비교적 투명하다.

3) 특정 목적을 위한 전략적 사용
- 기업은 시장 점유율 확보, 단기적인 재고 처리, 사회적 책임(CSR) 등의 목적으로 원가 판매를 활용하기도 한다.

2. At Cost의 장점
1) 고객 신뢰 확보
원가 판매를 통해 소비자는 불필요한 마진이 없다는 점에서 신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회원제 창고형 할인점(예: 코스트코)은 제품을 원가에 가깝게 제공하고, 대신 연회비를 받는 방식으로 운영한다.

2) 시장 점유율 확대
단기적으로 원가 판매를 하면 경쟁사보다 낮은 가격으로 시장을 공략할 수 있어 고객을 빠르게 확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타트업이 시장 진입 초기에 원가로 제품을 판매하여 고객층을 형성할 수 있다.

3) 재고 소진 효과
오래된 재고를 빠르게 소진해야 할 때 원가 판매가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유통기한이 임박한 제품을 원가로 판매하여 손실을 줄일 수 있다.

4) 사회적 책임과 브랜드 이미지 제고
일부 기업은 사회 공헌 차원에서 원가로 제품을 제공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 생필품을 원가로 제공하여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을 강화할 수 있다.

3. At Cost의 단점
1) 수익성 문제
- 원가 판매를 지속하면 기업이 직접적인 이윤을 창출할 수 없어 장기적으로는 운영이 어려울 수 있다.

2) 경쟁 압력 증가
경쟁사도 가격을 낮출 가능성이 커지며, 장기적으로 가격 경쟁이 심화되면 산업 전체가 수익성을 잃을 수 있다.

3) 소비자 기대치 상승
소비자들은 원가 판매를 기본 가격으로 인식할 가능성이 있다.
이후 가격을 정상 수준으로 올릴 경우 고객의 반발이 클 수 있다.

4) 운영 비용 부담
원가 판매를 유지하면서도 배송비, 마케팅 비용 등을 부담해야 하므로 기업 운영이 어려워질 수 있다.

4. At Cost의 적용 사례
1) 코스트코(Costco)
코스트코는 제품을 거의 원가 수준으로 판매하며, 연회비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운영하고 있다.

2) 손실 리더 전략(Loss Leader Strategy)
일부 소매점은 특정 인기 제품을 원가 이하로 판매하여 고객을 유인하고, 다른 고마진 제품을 구매하도록 유도한다.

3) 비영리 기관의 원가 판매
NGO나 공공기관이 구호 물품을 원가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4) 재고 처리를 위한 At Cost 판매
패션 브랜드가 시즌이 끝난 의류를 원가 수준으로 할인 판매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5. At Cost를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법
1) 명확한 목표 설정
고객 유치, 브랜드 인지도 상승, 재고 소진 등 원가 판매의 목적을 명확히 설정해야 한다.

2) 부가 수익 모델 도입
원가 판매를 하더라도 연회비, 구독 모델, 광고 수익 등 부가적인 수익 창출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3) 원가 절감 노력
원가 판매를 지속하려면 공급망 최적화, 대량 구매 할인, 효율적인 물류 운영 등을 통해 비용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4) 장기적인 가격 전략 병행
원가 판매가 끝난 후에도 고객을 유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마케팅 및 가격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

At Cost는 단순히 원가로 제품을 판매하는 개념이 아니라, 전략적으로 활용하면 브랜드 인지도 상승, 고객 유치, 시장 점유율 확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만 장기적으로 지속하기는 어려우므로, 추가적인 수익 모델과 함께 운영하는 것이 중요하다.

 

At Cost의 경우에는 이제 물류 견적서나 오더 정보에 가끔 들어 있기도 하다. WMS 같은 경우에도 ERP인 SAP에서 오더가 내려오면, 원가가 얼마인지, 유통 마진을 먹인 가격이 얼마인지 등의 컬럼을 추가하기도 하는데, 여기서 At Cost는 원가라는 의미로 사전적 정의가 되어 있지만, 실질적으로 현장에서는 원가보다는 우리가 마진은 따로 붙이지 않고 해당 창고까지 오는 비용까지 먹여서 At Cost라고 사용하기도 한다.

반응형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