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류 PDI 센터(PDI Center)는 주로 자동차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시설로, "Pre-Delivery Inspection"의 약자입니다. 말 그대로 최종 납품 전에 차량을 점검하고 준비하는 장소입니다.

1. PDI 센터의 정의
PDI(Pre-Delivery Inspection) 센터는 자동차가 공장에서 출하되어 최종 소비자에게 인도되기 전에 거치는 최종 점검 및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 물류 허브입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조사 또는 물류 대행사가 운영하며, 고객 인도 전에 필요한 모든 품질 확인, 옵션 설치, 청소, 보완작업 등을 수행합니다.

2. 주요 기능
1) 외관 및 품질 점검
- 도장 상태, 흠집 여부, 유리 파손 등 외관 검사
- 조립 품질, 도어 및 트렁크 작동 확인

2) 기능 점검
- 엔진 시동, 전조등/미등 작동 확인
- 브레이크, 클러치, 핸들 등의 작동성 검사
- 전자장비(내비게이션, 후방카메라 등) 점검

3) 옵션 장착 및 커스터마이징
- 고객 주문에 따라 선루프, 블랙박스, 사이드스텝, 바디킷 등 후가공
- 차량 내외부 액세서리 설치

4) 세차 및 마감 작업
- 실내외 세차
- 내부 비닐 제거, 방향제 등 부가 서비스 제공

5) 출고 및 운송 준비
- 최종 출고 승인 후 차량 등록서류 부착
- 운송 스케줄링 및 트럭 탑재 준비

3. 운영 방식
1) 입고 프로세스
- 공장 또는 수입항에서 PDI 센터로 차량 이송
- 입고 시점에서 차량 상태 기록 및 바코드 등록

2) 작업 공정 관리
-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또는 WMS(Warehouse Management System) 연동
- 작업 지시서 기반 점검 및 커스터마이징 수행

3) 출고 및 이력 관리
- 완료된 차량은 출고 대기장으로 이동
- 출고 이력, 정비 이력 등 데이터 저장 및 전송

4. 장점과 중요성



5. 실제 사례
1)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외곽에 PDI 센터 운영, 전 세계 수출 차량 최종 점검

2) BMW 코리아
평택 PDI 센터에서 수입차 입고 후 옵션 장착 및 점검

3) 테슬라
고객 인도 전 PDI 센터를 통해 OTA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및 품질 확인

6. 물류와의 연계
PDI 센터는 단순 점검 공간이 아니라, 자동차 물류 체인의 중간 노드입니다. 수출입 물류, 판매처 배송, 고객 인도까지의 전 과정에서 품질 안정성과 커스터마이징 유연성을 제공하는 핵심 거점입니다.

 

우리나라 현대기아에서는 PDI 센터를 구축해서 수출을 하게 되는데,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쪽에 위치해 있다. 거기서, 출고 전에 차량의 도장 확인이나 오염이 있을 경우 세척하는 등의 작업을 하고 선박에 차량을 이동시키까지의 과정들을 PDI 센터에서 관리를 하게 된다.

 

이 경우, WMS와의 연동도 정말 중요한데 이 부분은 다음에 다루도록 하겠다.

반응형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WMS와 WCS의 관계  (0) 2025.05.08
[물류] 씨앤레일(Sea & Rail)이란?  (0) 2025.05.07
[물류] OMS와 WMS의 관계  (0) 2025.04.24
[물류] 쿠팡 워터플렉스(Water Flex)란?  (0) 2025.04.22
[물류] 컬리 샛별배송이란?  (0) 2025.04.21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