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ROI는 물류 관련 투자(창고, 운송, IT시스템, 인력 등)에 대해 얼마나 효과적으로 이익이나 비용 절감 효과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기업이 물류 개선이나 시스템 도입에 들어간 비용이 어느 정도의 재무적 성과로 돌아오는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된다.
1. 계산식
물류 ROI(%) = (물류 투자로 인한 수익 또는 비용 절감액 - 투자비용) ÷ 투자비용 × 100
예) 창고 자동화 시스템 구축에 2억 원 투자
연간 물류비 3억 원 → 2.5억 원으로 감소 (0.5억 원 절감)
물류 ROI = (0.5억 - 2억) ÷ 2억 × 100 = -75% (현재는 손해지만, 4년 뒤 누적절감이 2억 원을 넘으면 양전환 가능)
2. 측정 항목 예시
1) 운송비 절감
2) 재고회전율 개선
3) 창고 운영비 절감
4) 리드타임 단축에 따른 매출 증가
5) 반품 비용 절감
6) 공급망 효율화로 인한 고객 만족도 증가
3. 중요성
1) 무조건적인 물류비 절감이 아니라 투자 대비 효과를 수치로 확인 가능
2) 물류 자동화, WMS(창고관리시스템), TMS(운송관리시스템) 등 도입 전·후 효과를 정량적으로 평가 가능
3) 경영진 보고 및 의사결정에 사용
4. 실제 적용 사례
1) 글로벌 제조기업 A사
- WMS 도입에 50억 원 투자
- 도입 3년 후 재고 회전율 30% 개선, 재고 비용 연 25억 절감
- ROI 50% 달성 후 추가 자동화 설비 투자 결정
2) 국내 유통기업 B사
- 풀필먼트 센터에 100억 원 투자
- 당일 배송 서비스 도입 후 월 매출 40억 원 증가
- 물류 ROI 1년 내 60% 이상 달성
3) 주의할 점
- 단기적인 수익에만 집중하면 실패할 가능성 높음 (대부분 물류 투자는 장기적 효과가 큼)
- 물류 비용 절감 외에도 품질, 서비스 수준, 사고율 등 비재무적 요소도 함께 평가해야 함
- ROI가 낮아도 물류 안정성과 고객 만족도 향상 등 간접 효과를 반드시 고려해야 함
5. 해외 사례
1) 아마존(Amazon)
(1) 투자 내용
- 물류센터 자동화, 로보틱스 도입 (Kiva Systems 인수 후 로봇 도입 확대)
(2) 비용
- 약 7.75억 달러(2012~2014)
(3) 성과
- 피킹 작업 시간 30% 이상 단축
- 연간 10억 달러 이상의 인건비 및 물류 운영비 절감
- ROI는 초기 3년 내 120% 이상 달성
(4) 특징
비용 절감뿐 아니라 빠른 배송이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고 프라임 서비스 가입자 수 증가로 매출까지 상승
2) Zara (인디텍스 그룹)
(1) 투자 내용
- 물류 허브 및 RFID 기술 도입
(2) 비용
- 약 2억 유로 규모
(3) 성과
- 재고 정확도 99% 달성
- 매장 보충 리드타임 3일 → 24시간 단축
- 재고 회전율 향상으로 연간 수익 4억 유로 추가 확보
- ROI 추정 : 약 200% (2년 내 투자비 회수 후 지속적인 매출 효과)
(4) 특징
- 공급망과 매장 시스템 통합으로 판매 손실 방지, 고객 만족도 증가
2. 국내 사례
1) CJ대한통운
(1) 투자 내용
- 메가 허브 터미널(경기도 곤지암) 구축, 자동화 설비 도입
(2) 비용
- 4,000억 원 규모
(3) 성과
- 택배 분류처리 용량 시간당 17만 상자 → 42만 상자로 증가
- 인건비 절감 및 하루 처리물량 증가로 연간 1,500억 원 이상의 비용 효율화
- 투자 후 3년 만에 투자 대비 150% 이상의 ROI 달성
(4) 특징
- 장기적 물류 경쟁력 확보, B2C 시장 점유율 1위 유지
2) 이마트 (SSG닷컴)
(1) 투자 내용
- 자동화 물류센터 ‘네오(NE.O)’ 건설 및 AI 기반 피킹 로봇 도입
(2) 비용
- 약 3,000억 원
(3) 성과
- 피킹 작업 효율 3배 증가
- 오배송률 0.1% 이하로 감소
- 온라인 신선식품 시장 점유율 30% 이상 확보
- ROI는 4년 차부터 100% 이상 달성, 이후 매출 견인 효과 지속
(4) 특징
- 초기 2~3년간은 적자였지만, 시장 선점 후 온라인 신선식품 분야 독보적 위치 확보
3) 현대자동차
(1) 투자 내용
- 글로벌 물류 플랫폼 구축 및 스마트 물류체계 전환
(2) 비용
- 약 5,000억 원
(3) 성과
- 물류비 절감 연 1,000억 원 이상
- 납기 정확도 98% 달성
- 해외 조달 및 부품 공급 안정화로 생산 차질 방지
- 5년 내 ROI 150% 이상 달성
물류 시스템 도입에 따른 ROI 측정은 정말로 중요하다. 이 ROI를 통해 WMS 도입 전 도입 기대 효과를 측정할 수 있고, WMS 도입 후에 ROI를 통해 도입에 대한 성과를 나타내는 지표이기도 하다.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ROE(Return on Equity)란? (0) | 2025.03.20 |
---|---|
[물류] ROA(Return on Assets)란? (0) | 2025.03.19 |
[물류] 행낭포장이란? (1) | 2025.03.17 |
[물류] 리드타임(Lead Time)이란? (0) | 2025.03.14 |
[물류] Bill to Party(청구자)란? (0) | 2025.03.1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