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류 ROA(Return on Assets)는 물류 관련 자산(창고, 물류센터, 차량, 자동화 설비, IT 시스템 등)에 대해 기업이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즉, 물류 자산을 얼마나 잘 활용해 수익을 내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재무지표다.

1. 계산식
- 물류 ROA(%) = (물류 부문 영업이익 ÷ 물류 자산 총액) × 100

* 물류 부문 영업이익 = 물류 관련 매출 - 물류 관련 비용
* 물류 자산 총액 = 물류센터, 창고, 차량, 장비, 시스템 등 물류와 직접 연관된 유형/무형 자산

2. 중요성
1) 물류 투자의 효율성을 보여주는 지표
2) 비용 절감뿐 아니라 자산의 회전율과 수익성을 동시에 점검
3) 과잉 투자 여부, 자산 활용 미비 여부를 파악할 수 있음
4) 자산 중심 산업(제조, 유통, 3PL기업 등)에서는 경영 성과의 핵심 지표로 사용

3. 측정 시 포함되는 자산 항목 예시
1) 유형자산
창고 부지, 물류센터 건물, 자동화 설비, 운송 차량

2) 무형자산
물류 IT 시스템(WMS, TMS),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3) 재고 자산
보관 중인 재고 자산 가치(특히 자체 보유 물량)

4. 실제 기업 적용 사례
1) DHL Supply Chain
- 물류 ROA 목표 : 10% 이상
- 글로벌 창고 자산 규모가 큰 회사이기 때문에 ROA를 지속적으로 관리
- 자동화 설비 도입 시 자산 증가분 대비 영업이익 증가 속도 관리를 중점적으로 실시
- 2021년 기준 ROA 12% 달성 (높은 수준으로 평가받음)
- 자산 효율이 높아지면 신규 센터 투자에도 적극적임

2) FedEx
- 대형 항공 화물기, 허브 터미널, 지상 운송 차량 등 대규모 자산 보유
- 2019 / 2021년 : 물류 ROA 89% 수준 유지
- ROA가 낮아질 때는 비용 감축과 자산 매각 전략 병행
- 자산 활용도가 낮은 노선 폐지 및 통합 작업으로 ROA 회복

3) CJ대한통운
- 메가허브 터미널 및 차량 자산 증가로 ROA 관리 필요
- 초기에는 ROA 5~6%로 낮았으나 고부가가치 서비스 및 택배 볼륨 증가로 자산 수익성 개선
- 2023년 ROA 약 9% 도달 (국내 물류업계 기준으로 우수 수준)

5. ROA 개선 방법
- 고정 자산에 대한 활용도 극대화 (예: 24시간 가동 체계, 시즌 대응 임대 전략)
- 자산 경량화(렌탈, 외주 활용)로 자산 리스크 최소화
- 자동화 시스템 도입 시 ROI 및 ROA를 동시에 시뮬레이션
- 물류 자산 회전율 지표 병행 관리 (재고 회전율, 운송 장비 가동률)

6. 주의사항
- ROA가 높다고 해서 항상 좋은 건 아님
- 자산 투자 없이 인건비 절감만으로 얻은 수익은 지속가능하지 않을 수 있음
- ROA가 지나치게 낮으면 자산 과잉 또는 투자 비효율 가능성
- 자산 활용률, 시설 가동률, 유지보수비용 등과 함께 통합 평가해야 함

 

ROI는 투자를 해서 얼마나 벌어 오는지에 대한 지표인데, ROA는 자산에 대해 얼마나 벌어오는지에 대한 지표다. 예를 들어, 물류 창고에 지게차 최신형으로 도입하고, WMS 도입하고, DAS, DPS 등 설비도 투입하여 돈을 얼마 만큼 벌었어? 라는 지표다. 기존에는 수작업으로 했는데, 이거 도입하고 얼마 벌었어? 가 된다.

반응형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ROE, ROI, ROA 관계  (0) 2025.03.21
[물류] ROE(Return on Equity)란?  (0) 2025.03.20
[물류] ROI(Return on Investment)란?  (0) 2025.03.18
[물류] 행낭포장이란?  (1) 2025.03.17
[물류] 리드타임(Lead Time)이란?  (0) 2025.03.14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