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ROE(Return on Equity)는 일반적인 재무 지표인 자기자본이익률(ROE)을 물류 부문에 적용하여, 물류 부서나 물류 활동에 투입한 자기자본 대비 얼마만큼의 순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
1. 정의
1) 물류 ROE = (물류 부문 순이익 / 물류 관련 자기자본) × 100
2) 여기서 ‘물류 부문 순이익’은 물류센터 운영, 물류 자산 운용, 자체 운송 장비 운영 등 물류 투자 활동에서 발생한 이익을 의미합니다.
3) ‘물류 관련 자기자본’은 창고 건설, 물류장비 구입, WMS 시스템 구축, 물류 관련 연구개발 등에 투입된 자금을 말합니다.
2. 필요성
1) 물류 효율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평가
2) 단순히 물류비 절감만 보는 것이 아니라, 물류 투자의 경영적 타당성을 점검하는 지표
3) 투자형 물류 운영(물류센터 자산화, 자체 차량 구매 등) 시 필수적으로 사용됨
3. 계산 예시
물류 투자 자본: 100억 원
물류 부문에서 발생한 연간 순이익: 10억 원
물류 ROE = (10억 ÷ 100억) × 100 = 10%
4. 장점
1) 투자 대비 수익성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음
2) 물류 조직의 경영적 책임감 및 자산 효율성 관리 촉진
3) 단순 비용 관리에서 자산 투자 및 수익 관리 중심의 경영 패러다임 전환
5. 단점
1) 물류 부문의 이익 산출이 어렵다는 점(회계상 순이익 배분 문제)
2) 단기 수익에 집착하게 되면 장기적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
3) 외부환경(연료비, 환율, 금리)에 따라 변동성이 큼
6. 활용 방법
1) 물류센터 신규 투자 시 ROI와 함께 ROE를 동시 검토
2) 매년 물류 자산 운영 효율성 점검 지표로 사용
3) 물류 관련 계열사 설립 시 경영지표로 설정
4) 택배/3PL/풀필먼트 기업은 ROE를 통해 자본 효율성을 평가
7. 실제 사례
1) CJ대한통운
- 자가 보유 물류센터와 차량에 대한 투자 ROE를 산출해 불필요한 자산 매각 및 임대 전환 검토
2) 아마존
물류 인프라 확장 시 ROE 분석을 통해 자산 투자와 리스(임대)의 최적 비율을 결정
3) 쿠팡
대규모 물류센터 건설 시 물류 ROE를 분석하여 투자 회수 기간과 수익성을 동시에 판단하고 투자계획을 수정
즉, ROE는 내 돈 얼마 써서 얼마 벌어왔어? 이거다.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Sea-Air 서비스란? (0) | 2025.03.24 |
---|---|
[물류] ROE, ROI, ROA 관계 (0) | 2025.03.21 |
[물류] ROA(Return on Assets)란? (0) | 2025.03.19 |
[물류] ROI(Return on Investment)란? (0) | 2025.03.18 |
[물류] 행낭포장이란? (1) | 2025.03.1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