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OE, ROI, ROA 정의 및 계산식
2. ROE, ROI, ROA 장단점
3. ROE, ROI, ROA 시점
물류에서 ROE, ROI, ROA는 각기 다른 관점을 보지만, 결국 하나의 자금 흐름 속에서 연결된 지표들이다.
ROA는 ‘내가 보유한 자산이 얼마만큼 수익을 내고 있는지’ 보는 지표
ROE는 ‘내 돈(자기자본)을 얼마나 잘 굴렸는지’ 보는 지표
ROI는 ‘프로젝트나 투자금(내 돈 + 남의 돈)을 모두 포함해 얼마나 효율적으로 회수했는지’ 보는 지표
핵심 관계식
ROE = ROA × 레버리지 비율 (레버리지 = 총 자산 ÷ 자기자본)
레버리지가 크면 ROE는 ROA보다 훨씬 커질 수 있지만, 그만큼 위험도 증가
ROI는 개별 투자 프로젝트 단위의 성과로, 자산(ROA)과 자본(ROE)을 연결해주는 ‘투자 평가의 시작점’
ROI는 개별 프로젝트 단위의 수익성을 나타내고
ROA는 그 모든 프로젝트가 모여 기업 자산이 되었을 때의 효율성을 나타내며
ROE는 자산과 부채를 활용한 총 경영성과를 자기자본 관점에서 바라보는 최종 지표
직관적인 이해 (비유)
ROA = 내 트럭 한 대가 얼마나 효율적으로 물건을 옮겨서 돈을 버는지
ROI = 트럭을 사는 데 들어간 비용(내 돈 + 대출금)을 다 포함했을 때 얼마나 잘 투자했는지
ROE = 트럭 구입에 내 돈을 얼마 썼고, 그 내 돈이 얼마나 빠르고 많이 불어났는지
관계 시나리오 예제
자기자본: 100억 원
부채: 400억 원
총 자산(=투자금): 500억 원
연간 순이익: 50억 원
지표 계산식 결과
ROA 50억 ÷ 500억 10%
레버리지 비율 500억 ÷ 100억 5배
ROE ROA(10%) × 5배 50%
ROI 50억 ÷ 500억 10%
여기서 보면 ROA와 ROI는 비슷한 수치를 가지는데, ROE는 레버리지 때문에 매우 크게 증가함.
하지만 부채 리스크가 커지면 금리 인상, 불황 시에 손실이 커질 위험이 크다.
5. 경영 관점에서의 연결 관계
경영 단계 사용하는 지표 관계
신규 물류 프로젝트 기획 ROI “이 프로젝트 투자금(내 돈+대출 포함) 회수가 가능할까?”
자산 보유 관리 ROA “보유하고 있는 물류 자산이 잘 돌아가고 있는가?”
주주 가치 및 경영 성과 평가 ROE “내 돈(자기자본)을 효율적으로 잘 불리고 있는가?”
6. 실무 활용 구조
신규 풀필먼트 센터를 짓거나 물류 설비에 투자할 때:
ROI로 프로젝트 타당성 검토 → 투자 결정
투자 후 자산으로 관리하면서 ROA로 효율성 점검
연말 결산 시 ROE로 주주 입장에서 자본 수익성 평가
7. 리스크 관점에서의 관계
레버리지가 높으면 ROE는 커질 수 있지만 위험도가 상승
ROA가 일정한 상태에서 레버리지를 높이면 초반 ROE는 상승하지만
금리 인상, 수익성 하락 시 ROE가 급격히 나빠질 수 있음
ROI가 낮은 프로젝트는 장기적으로 ROA와 ROE를 악화시킨다.
8. 한 문장 요약
ROI는 “이 투자 괜찮을까?”를 묻는 질문이고, ROA는 “내 자산이 잘 일하고 있는가?”를 점검하는 도구이며, ROE는 “내 돈이 얼마나 잘 불어나고 있는가?”를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지표이다.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롤테이너(Rolltainer)란? (0) | 2025.03.25 |
---|---|
[물류] Sea-Air 서비스란? (0) | 2025.03.24 |
[물류] ROE(Return on Equity)란? (0) | 2025.03.20 |
[물류] ROA(Return on Assets)란? (0) | 2025.03.19 |
[물류] ROI(Return on Investment)란? (0) | 2025.03.18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