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에서 UPH(Units Per Hour)는 인력, 설비, 프로세스 효율을 측정하고 개선하기 위한 핵심 생산성 지표입니다.
1. UPH의 개념
UPH(Units Per Hour)는 시간당 처리한 단위 수량을 의미하는 생산성 지표로, 물류센터에서는 보통 작업자 또는 장비가 1시간 동안 처리한 작업 수량(주문 수, 박스 수, 피킹 수, 출고 수 등)을 나타냅니다.
아래는 예시다.
1) 한 작업자가 1시간에 240개 상품을 피킹했다면 → UPH = 240
2) 한 컨베이어 라인이 1시간에 1,000박스를 처리했다면 → UPH = 1,000
UPH는 작업 유형(피킹, 포장, 분류 등)과 측정 대상(작업자, 설비, 라인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적용됩니다.
2. UPH가 필요한 이유
1) 물류 생산성 측정 및 관리 지표
UPH는 작업자의 역량이나 라인의 성능을 수치로 정량화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로, 운영 성과 평가에 사용됩니다.
2) 인력 배치 및 운영 계획 수립
UPH 값을 기반으로 전체 작업량에 필요한 인력 수를 산정하거나, 피크 시간대 인력 재배치를 할 수 있습니다.
예: 출고 예정 수량이 24,000개이고, 평균 UPH가 300이라면 최소 80명의 인력이 필요함
3) SLA(Service Level Agreement) 준수
물류센터의 처리속도가 계약된 서비스 수준(SLA)을 만족하는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사용됩니다. (예: 1시간 내 500단위 출고)
4) 설비 투자 효과 측정
컨베이어, 셔틀, AGV 등 자동화 설비 도입 전·후의 UPH 변화를 분석해 투자 대비 효과(ROI)를 평가할 수 있습니다.
5) 성과 기반 보상 및 인센티브
작업자별 UPH 데이터를 기반으로 성과급, 보상체계에 반영하여 동기를 부여하는 도구로 활용됩니다.
3. UPH의 운영 방식
1) 측정 기준 및 방식 설정
(1) 측정 단위
개수(Unit), 박스(Box), 주문(Order), 건(Line), 팔레트 등
(2) 측정 대상
작업자, 작업라인, 설비, 프로세스
(3) 작업 구분
피킹 UPH / 포장 UPH / 입고 UPH / 출고 UPH 등
(4) 시간 구간
1시간 단위 또는 조별, 일별 단위로 산정
피킹 작업자 A의 오전 9~10시 작업량: 360박스 → UPH = 360
포장 라인의 오전 평균 처리량: 1,200건/3명 → 개인 평균 UPH = 400
2) WMS 기반 자동 측정 시스템
대부분의 현대 WMS에서는 다음 정보를 기반으로 UPH를 자동 산정합니다.
(1) 작업자 로그인 정보 (ID, 시작시간, 종료시간)
(2) 처리한 주문 수/라인 수
(3) 작업 기록 로그 (스캔, 라벨 출력, 완료 버튼 등)
(4) 설비 처리량 데이터 (센서, PLC, IoT 연동)
3) 작업 실적 및 KPI 보고서 생성
UPH는 작업 종료 후 일별/주간/월간 실적 보고서로 집계되어 운영팀, HR팀, 고객사 등에게 제공됩니다.
또한, 대시보드에서 실시간으로 작업자별, 설비별 처리량을 시각화하는 데 활용됩니다.
4. 주의할 점 및 한계
1) 단순 수량 중심으로 인한 왜곡 가능성
UPH는 수량 중심의 지표이기 때문에, 작업 난이도, 동선, SKU 다양성 등이 반영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예: 소형 단일 SKU 300개 피킹과, 대형 혼합 SKU 150개 피킹은 난이도 차이가 있지만 UPH는 전자가 높게 나옴.
2) 과도한 UPH 압박 → 품질 저하
UPH 기준만 강조하면 작업 속도는 빨라지지만 품질(오피킹, 파손, 누락 등)은 떨어질 수 있어 오히려 클레임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3) 설비 기반 작업의 측정 어려움
자동화 설비의 경우 작업자가 개입하지 않아 작업자 UPH 측정이 어려울 수 있으며, 설비 가동률 등 다른 지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작업자간 비교의 한계
작업자별 UPH 비교는 동일한 조건(작업 유형, 상품, 존, 거리 등)이 아니라면 공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5. 향후 발전 방향
1) 복합 KPI 체계로의 확장
UPH 외에도 UPQ(Unit Per Quality), UPM(Unit Per Manpower Cost) 등 다양한 지표를 함께 사용하여 정량 + 정성 평가를 병행하는 방식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2) AI 기반 동적 생산성 예측
과거 작업자별, 상품별, 시즌별 데이터를 기반으로 AI가 작업자의 UPH를 예측하고, 작업 배치나 피킹 경로를 자동 최적화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3) 실시간 피드백 시스템 도입
작업자가 자신의 실시간 UPH 현황을 모바일 또는 스크린에서 확인하고, 목표 대비 얼마나 부족한지 확인하여 자기 동기화를 유도하는 시스템이 확산 중입니다.
4) 표준 시간 기준(STD Time) 기반 평가 체계 도입
UPH를 절대 수치가 아닌, 표준작업시간 대비 달성률로 평가함으로써 공정성과 합리성을 확보하려는 시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6. 정리
UPH는 물류센터의 생산성, 효율성, 인력 계획을 수치화하고 최적화하는 데 매우 중요한 지표입니다.
다만, 단순 수량 중심 지표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품질 지표와 병행, AI 기반 자동 분석, 실시간 시각화 등과 통합 운영이 중요합니다.
정확한 UPH 산정과 공정한 활용은 물류 현장의 동기 부여와 운영 품질 개선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UPH의 경우, 물류센터에서 개인 KPI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표 중 하나로 이 하나 때문에 물류 센터가 바삐 돌아간다.
거기에, 이 UPH로 측정을 하기도 하기 때문에 스트레스 받는 요인 중 하나라는 점.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물류 LOT이란? (3) | 2025.08.13 |
---|---|
[물류] 평치란? (3) | 2025.08.07 |
[물류] 팔레트 입수란? (1) | 2025.07.24 |
[물류] 운송장 대역이란? (3) | 2025.07.18 |
[물류] 표본검수란? (1) | 2025.07.07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