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류에서 평치는 상품을 바닥에 펼쳐놓는 방식의 보관 또는 진열 방식을 의미합니다. 특히 박스나 팔레트를 사용하지 않고 제품을 직접 바닥에 배열하는 형태로, 재고 처리 속도와 접근성이 중요한 현장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1. 평치의 개념
평치는 상품을 팔레트나 랙에 적재하지 않고 바닥(플로어)에 직접 펼쳐서 보관하거나 진열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1) 낱개 또는 박스를 쌓지 않고 한 층으로 바닥에 넓게 배열
2) 상품 식별이 용이하도록 정렬된 형태
3) 랙이나 셸프 없이 직접 작업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배치

주로 의류, 소형 전자기기, 행사용 물품, 프로모션 상품 등에서 많이 활용되며, 출고 속도, 시각적 진열, 간편한 피킹이 중요한 상황에서 선호됩니다.

2. 평치가 필요한 이유
1) 작업 효율성 확보
작업자가 직접 상품을 눈으로 보고 손으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피킹, 검수, 분류, 포장 등 다양한 작업의 속도와 정확도가 향상됩니다.

2) 소량 다품종 SKU 대응
다품종 상품을 적은 수량으로 운영할 때 랙을 쓰기엔 비효율적입니다. 평치 방식은 SKU가 많고 단품 수량이 적은 경우 빠른 접근이 가능합니다.

3) 유연한 공간 활용
특정 기간에만 사용하는 행사 상품이나 리워킹 대상 물품처럼 임시 보관이 필요한 경우, 랙 없이 평치로 간단히 공간을 구성할 수 있어 유연합니다.

4) 작업 동선 최소화
고정 위치에 평치된 상품은 작업자의 이동 동선이 짧아지고, 장비(지게차, 핸드 팔레트 등) 없이도 빠르게 작업이 가능합니다.

3. 평치의 운영 방식
1) SKU별 구획 설정 및 표기
바닥에 테이프, 라벨, 색 테두리 등으로 SKU별 존을 구획하여 평치 위치를 정의합니다.

WMS에서 존 또는 로케이션 코드를 등록하고, 각 위치별로 SKU를 매핑합니다.


2) FIFO / LIFO 방식 선택
제품 특성에 따라 선입선출(FIFO) 또는 후입선출(LIFO) 방식으로 평치 순서를 정함

3) 출고 또는 리워킹 전용 평치 운영
리워킹(Reworking), 검사(QA), 라벨링 등의 작업을 위해 작업 공간에 임시 평치하는 경우가 많음
작업 완료 후 다시 랙이나 팔레트에 적재하거나 바로 출고

4) 보충 피킹 방식으로 활용
메인 재고는 랙에 보관하고, **피킹 구역(Forward Area)**에 평치로 일정 수량을 보충
피킹 작업자는 평치된 구역에서 빠르게 피킹 후 작업

4. 주의할 점 및 한계
1) 공간 효율성 저하
바닥에 펼쳐놓기 때문에 수직 공간을 활용하지 못하고, 면적당 재고 밀도가 낮아 전체 보관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2) 재고관리 정확도 저하
명확한 구획 없이 평치하면 SKU 혼합, 재고 초과/부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WMS와 연동되지 않거나 수동으로만 관리하면 오류 발생률이 높아집니다.

3) 작업자 안전 위험
통로를 침범하는 평치, 제품의 돌출 등은 작업자 낙상 또는 충돌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바닥이 미끄럽거나 좁은 경우 위험도가 더 커집니다.

4) 먼지, 파손 등 품질 문제
바닥에 직접 노출되므로 먼지, 습기, 이물질 등으로 인해 제품 오염, 파손 가능성이 높아지며, 위생 기준을 만족시키기 어렵습니다.

5. 향후 발전 방향
1) 스마트 평치 위치 관리 도입
바닥에 QR코드, RFID 태그를 부착하여 모바일 스캐너로 재고 위치를 실시간 확인하고, 평치 위치별 입출고 이력을 자동 기록하는 방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2) AI 기반 평치 최적 배치 시스템
AI가 SKU별 출고 빈도, 박스 크기, 접근성 등을 분석하여 평치 위치를 자동 추천하거나 시뮬레이션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3) 평치 + 이동식 랙 하이브리드 전략
이동 가능한 선반, 롤테이너, 스태커블 박스를 사용해 평치와 랙 보관의 장점을 융합
유연성과 공간 효율을 동시에 확보하는 형태

4) 3D 공간 스캐닝과 재고 연계
창고 내 3D 스캐너나 드론을 이용해 바닥 위 평치된 상품의 상태와 위치를 자동 스캔
이를 통해 재고관리 시스템과 실시간 연동하는 기술도 연구되고 있습니다.

6. 정리
평치는 물류 현장에서 접근성과 작업 효율을 중시하는 보관 방식으로, 특히 단기 보관, 다품종 소량 SKU, 리워킹 상품에 적합합니다.
그러나 공간 비효율, 재고 오류, 품질 저하와 같은 한계도 있으므로, 시스템적인 연계와 작업 기준의 명확화가 필수입니다.
향후에는 QR코드, AI 배치 추천, 스마트 WMS 연동 등을 통해 더욱 정교하고 유연한 평치 운영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평치의 경우에는 물류 창고에서 랙이나 팔레트보다 공간 활용도가 높을수도 있지만 낮을 수도 있다.

평치에 혼적을 하여 적재할 경우에는 다양한 제품을 적재할 수 있어 적재율이 높아지지만, 제품 위에 또 다른 제품을 혼적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적재율이 낮아지기도 한다.

 

따라서, 작은 제품은 상관이 없지만 큰 제품은 평치에 보관하기도 한다.

반응형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UPH(Units Per Hour)란?  (1) 2025.07.25
[물류] 팔레트 입수란?  (1) 2025.07.24
[물류] 운송장 대역이란?  (3) 2025.07.18
[물류] 표본검수란?  (1) 2025.07.07
[물류] URS(User Requirement Specification)란?  (2) 2025.07.02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