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류 ABC 등급 (ABC Classification)
1. 개념
ABC 등급은 파레토 법칙(80:20 법칙)에 기반하여, 보유하고 있는 재고나 품목을 중요도 또는 기여도에 따라 A, B, C 등급으로 분류하는 재고 관리 기법입니다.
1) A등급
가장 중요한 소수의 품목 (재고 가치는 높지만 수량은 적음)
2) B등급
중간 수준의 품목
3) C등급
중요도가 낮은 다수의 품목 (재고 가치는 낮지만 수량은 많음)
즉, 전체 품목 중 일부가 대부분의 가치(매출, 비용 절감 효과, 사용 빈도 등)를 차지한다는 점을 활용하는 방식입니다.
2. 필요성
1) 효율적 재고 관리
모든 품목을 동일한 수준으로 관리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므로, 중요도에 따라 관리 강도를 달리해야 합니다.
2) 운영 비용 최적화
A등급은 안전재고 관리, 주기적 발주, 정밀한 수요예측 필요
C등급은 단순 발주 또는 묶음 발주 가능
3) 창고 운영 최적화
A등급은 피킹 효율을 높이기 위해 출하 구역 근처, 접근이 쉬운 위치에 배치
C등급은 창고 깊숙한 곳에 보관 가능
4) 자금 운영 안정화
자금이 묶이는 것을 방지하고, 투자 대비 효율을 극대화
3. 운영 방식
1) 분류 기준 설정
매출액, 사용량, 이익 기여도, 회전율 등 기준을 설정
예 : 연간 매출 기여도를 기준으로 분류
2) 품목별 기여도 산출
예 : 품목 매출액 ÷ 전체 매출액 × 100
3) 누적 기여율 계산
품목을 기여도 순으로 정렬 후 누적 비율을 계산
4. 등급 구분
1) 일반적인 기준
A등급 : 누적 비율 상위 70~80%
B등급 : 누적 비율 15~20%
C등급 : 나머지 5~10%
2) 관리 방법 차등 적용
A : 집중 관리, 정밀 수요예측, 빈번한 발주, 안전재고 확보
B : 보통 관리, 일정 주기 발주
C : 단순 관리, 대량 발주, 최소 관리
5. 주의사항
1) 분류 기준 단일화 문제
매출액만 기준으로 하면 고가 저회전 품목이 A로 분류될 수 있어 운영 비효율 발생
경우에 따라 다차원 분석(예: 매출 + 회전율 + 전략적 중요성)이 필요
2) 등급 고정화 문제
시장 환경, 수요 패턴이 변하면 등급이 바뀌므로 주기적 재분류 필요
3) B등급 관리 소홀
A와 C에 집중하다 보면 B등급 관리가 소홀해질 수 있음 → 균형 필요
ABC 등급은 재고 품목을 중요도에 따라 분류하여 집중 관리할 대상을 명확히 하는 기법입니다.
A등급은 소수지만 가치가 크므로 철저 관리, C등급은 다수지만 가치가 작으므로 간소 관리가 효율적입니다.
단일 기준이 아닌 다차원 분류(ABC + XYZ, 전략적 중요성 반영)가 최근 트렌드입니다.
실제 기업들은 이를 활용해 재고 비용 절감, 피킹 효율 향상, 자금 운용 최적화를 달성하고 있습니다.
물류 센터나 창고에서 내부에 있는 재고에 등급을 매겨 재고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는 방법을 말한다. 재고에 ABC 등급을 부여할 때에는 기준을 두고 부여를 하게 되는데, 거의 대부분은 가장 출고가 많이 되는 재고를 A, 그 다음을 B, 그 다음을 C 이렇게 둔다.
따라서, 출고장을 기준으로 가장 많이 출고가 되는 기준으로 피킹 거리나 효율을 높이기 위해 가장 가깝게 배치를 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모빌랙(Mobile Rack System)이란? (0) | 2025.09.17 |
---|---|
[물류] 화주란? (0) | 2025.09.11 |
[물류] 물류 BOH(Beginning On Hand)란? (0) | 2025.09.03 |
[물류] 물류 EOH란? (1) | 2025.08.20 |
[물류] 물류 LOT이란? (3) | 2025.08.13 |
최근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