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류에서 박스입수량(Box Quantity)은 매우 기본적이지만 중요한 개념이다. 이는 하나의 박스(또는 카톤, Carton) 안에 들어 있는 동일 상품의 개수를 의미하며, 재고관리, 발주, 피킹, 출하, 단가 계산 등 다양한 물류 프로세스 전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1. 정의
상품을 포장할 때 한 박스(BOX) 안에 포장되는 동일 품목의 단위 수량을 말한다.

예를 들어, 한 박스에 라면 20개가 들어 있다면 박스입수량은 20개다.
한 카톤에 화장품 12개가 들어 있다면 박스입수량은 12개다.

이 값은 제품별로 다르며, 일반적으로 상품 마스터(Master Data)나 물류 시스템(WMS, ERP 등)에 등록되어 관리된다.

2. 필요성
박스입수량은 물류의 여러 단계에서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핵심 데이터이다.

1) 발주 및 입고 효율화
발주 시 낱개 단위가 아닌 박스 단위로 수량을 계산하면, 포장 단위에 맞춰 발주가 가능해 불필요한 개봉이나 재포장을 줄일 수 있다.

2) 재고관리 단위 통일
물류센터에서는 낱개(Piece) 단위보다 박스(Box) 단위로 재고를 관리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이는 보관 공간 산정, 피킹 로직, 출하 단위 설정 등에도 영향을 준다.

3) 출고 및 피킹 효율성
낱개 피킹보다 박스 단위 피킹이 훨씬 빠르기 때문에, 박스입수량 정보를 활용해 피킹 단위를 자동 결정할 수 있다.
예: 출고수량이 60개라면 박스입수량이 20개일 경우 3BOX로 자동 계산 가능

4) 물류비 절감
포장 단위 최적화를 통해 운송비, 포장비, 인건비를 줄일 수 있다.
특히 팔렛적재 효율과도 직결되어, 운송 단위 최적화에 큰 영향을 미친다.

3. 주의사항
1) 상품 변경 시 입수량 변동 주의
제조 공정 변경, 포장재 규격 변경 등으로 박스입수량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변경 시 반드시 시스템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이를 반영하지 않으면 재고 불일치, 출하 오류가 발생한다.

2) 입수량 기준의 혼동 방지
일부 업체는 ‘내포장 기준’, 일부는 ‘외포장 기준’으로 관리하는 경우가 있어, 단위 명확화(EA, BOX, CTN 등)가 중요하다.

3) 자동화 설비와의 연계
자동창고나 피킹 시스템은 입수량 정보에 따라 자동 팔렛 적재, 분류, 피킹 경로를 계산하므로, 오등록 시 시스템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4) 물류비 산정과의 관계
운송단위(BOX, PALLET)에 따라 운송비가 달라질 수 있어, 계약 단위와 일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박스입수량은 단순히 “박스 안의 개수”를 의미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물류 전체 효율을 좌우하는 핵심 데이터다.
정확한 박스입수량 관리가 이루어지면

1) 발주 효율화
2) 피킹 속도 향상
3) 재고 정확도 유지
4) 물류비 절감


이라는 네 가지 주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모든 물류 시스템(WMS, ERP 등)에서 박스입수량의 정확성 유지와 체계적인 관리 프로세스 구축이 매우 중요하다.


즉, 박스입수량은 WMS에서 피킹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요소 중 하나이다.

 

대부분 물류 센터나 창고에서는 WMS를 단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SAP 등의 ERP와 연동을 하여 사용을 하는데, ERP에서도 SKU 마스터를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WMS에서는 이 SKU 마스터 데이터들을 인터페이스 받아 WMS에서 따로 마스터를 구성한다.

 

SKU 마스터에는 해당 SKU의 정보들을 담고 있는데, 박스입수량 또한 SKU 마스터 데이터의 일부 중 하나이다.

즉, 한 박스에 이 SKU가 몇 개가 들어가는지를 데이터화 해놓는다.

추가로, 이 박스가 1개의 팔레트에서는 또 몇 개의 박스가 들어가는지도 데이터화해서 넣기도 한다.

 

이 박스 입수량을 통해 피킹을 할 때 박스를 안뜯고 박스 그 자체로 송장을 붙여 배송을 나가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박스입수량은 필수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데이터 중 하나이다.

반응형

'물류 > 공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류] 모빌랙(Mobile Rack System)이란?  (0) 2025.09.17
[물류] 화주란?  (0) 2025.09.11
[물류] ABC 등급이란?  (0) 2025.09.09
[물류] 물류 BOH(Beginning On Hand)란?  (0) 2025.09.03
[물류] 물류 EOH란?  (1) 2025.08.20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